달력

3

« 2010/3 »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0/03/04'에 해당되는 글 4

  1. 2010.03.04 삼인손일(三人損一)
  2. 2010.03.04 대건붕래(大蹇朋來)
  3. 2010.03.04 우주우항(遇主于巷)
  4. 2010.03.04 입우좌복(入于左腹)
2010. 3. 4. 14:46

삼인손일(三人損一) 기타(其他)/명언(名言)2010. 3. 4. 14:46

  사자성어를 선호하기 때문에 줄여표현 하곤 하는데 원문은『주역』 손(損)괘의 세번째 효사입니다. 전체 원문을 소개하면 「삼인행즉(三人行則) 손일인(損一人), 일인행즉(一人行則) 득기우(得其友)」입니다. 이것을 줄여 삼인손일(三人損一) 일인득우(一人得友)라고 합니다. 해석이 어렵지는 않습니다. ‘세명이 나아가면 한명을 잃고, 한명이 나아가면 친구를 얻는다’는 말입니다.

 

보통은 ‘다른 사람을 끌어들이지 말라’는 의미를 표현하기 위해서 인용합니다. 세 사람이 길을 가면 더 가까워지는 두 사람 때문에 한 사람은 떨어져 나가기 마련입니다. 실재의 사람이 3명이 아니라 가상의 사람이 등장해도 그러할 것 같습니다. 요즘 젊은층에서 유행하는 엄친아(엄마 친구의 아들)라는 말도 그래서 만들어진 것이 아닐까요? 엄마와 딸의 대화에 잘난 엄마친구의 아들이 끼어들면 딸아이는 엄마에게서 떨어져 나갑니다.

일인득우(一人得友)까지 언급하고 가겠습니다. 엄마와 딸의 대화에 엄마가 스스로를 잊고 딸과 한마음이 되면(1人) 하고 싶은 얘기를 다 털어놓은 딸이 엄마를 찾으려 옵니다. “엄마는 속상하는 일 없어?” 그래서, 엄마는 친구를 얻었습니다(得友).

 

종종, ‘작은 희생은 감수해야 한다’는 뜻으로 인용합니다. 3은 고래로부터 많음을 상징하는 숫자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3인은 많은 사람이 모인 큰 조직을 상징합니다. 거대한 단체는 의견이 분분하기 마련이고, 1인(소수)의 목소리를 무시해야 할 필요가 생기기도 합니다. 모든 입장을 다 수용하고는 나아갈 수 없기 때문입니다.

이렇게 해석할 경우에는 일인득우(一人得友)는 작은 조직은 동지를 얻어야 한다는 의미가 됩니다. 즉, 큰 집단은 덜어내면서 내실을 다져야 하는 것이고, 작은 집단은 우선 규모를 키우는 것이 나아가는 순서라는 의미로 연결됩니다.

'기타(其他) > 명언(名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악위소(一握爲笑)  (2) 2010.03.05
문언불신(聞言不信)  (2) 2010.03.05
대건붕래(大蹇朋來)  (0) 2010.03.04
우주우항(遇主于巷)  (0) 2010.03.04
입우좌복(入于左腹)  (0) 2010.03.04
:
Posted by 오빠야닷컴
2010. 3. 4. 14:44

대건붕래(大蹇朋來) 기타(其他)/명언(名言)2010. 3. 4. 14:44

  대건붕래(大蹇朋來)는 『주역』 건(蹇)괘의 다섯째 효사에 나오는 명언입니다. 해석에 어려움은 없습니다. ‘큰 어려움이 닥치면 벗이 찾아온다’는 뜻입니다. 붕(朋)은 친구와 동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보는 것이 보통이지만 화폐라고 보기도 합니다. 붕(朋)이 조개껍데기가 나란히 있는 형상이며, 고대에는 조개를 화폐로 사용하였습니다.

 

보편적으로 인용하는 경우는 ‘어려워도 포기하지 마라’는 얘기를 하고자 할 때입니다. ‘하늘은 견딜 수 없는 시련은 주지 않는 법이다’ 등등의 많은 속담과 격언들과 연결되는 의미입니다.

 

종종 ‘큰 어려움이 닥쳐야 친구를 알 수 있다’는 의미로도 인용합니다. 큰 어려움이 닥치면 적과 동지가 분명히 드러납니다. 얻어갈 것이 없으면 사라지는 자는 도적이었으며, 내 놓아야 할 것이 아까워 사라지는 자는 동료였을 뿐입니다. 충신(忠臣)이요, 열사(烈士)요, 의사(義士)는 나라가 위태로울 때라야 알 수 있습니다. 『논어』제9편 자한제28장의 의미와도 통할 것입니다.

날씨가 추워진 후에야 소나무와 잣나무가 시들지 않음을 알 수 있다.

 

큰 어려움이 오히려 고맙다’는 그러한 의미로도 인용합니다. 큰 어려움이 오히려 친구가 찾아온 것처럼 반갑다는 말입니다. 요즘처럼 어려운 시기에 ‘위기는 기회다’라는 말이 자주 들립니다. 큰 어려움은 나쁜 듯 생각하지만, 실제로는 나를 도와주려고 찾아온 친구였던 것입니다. 그래서 젊어서 고생은 사서도 한다고 하였습니다.

'기타(其他) > 명언(名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문언불신(聞言不信)  (2) 2010.03.05
삼인손일(三人損一)  (0) 2010.03.04
우주우항(遇主于巷)  (0) 2010.03.04
입우좌복(入于左腹)  (0) 2010.03.04
진여석서(晉如鼫鼠)  (0) 2010.03.03
:
Posted by 오빠야닷컴
2010. 3. 4. 13:21

우주우항(遇主于巷) 기타(其他)/명언(名言)2010. 3. 4. 13:21

  우주우항(遇主于巷)은 『주역』 규(睽)괘의 두번째 효에 나오는 명언입니다. 직역하면 ‘길거리(골목)에서 주인을 만난다’는 뜻이 됩니다.

 

일반적으로 ‘운명적인 만남’을 표현하는 경우에 인용합니다. 약속을 하고 만나는 것이 아니라 전혀 생각지도 않고 있었는데 우연히 만나게 된 것입니다. 굳이 사람에 한정할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인생은 우연적인듯 보이는 사건의 집합인 것도 같습니다. 우연처럼 느껴지는 필연인지는 신(神)만이 아시겠죠.

 

종종 ‘몰래 벌이는 것이 있다’는 것을 표현하기도 합니다. 독립투사들께서 등장하는 드라마나 영화의 장면이 떠 오르네요. 우연히 길에서 만난 것처럼 인사를 건네고 지나가면서 뜻을 전합니다. 그러니 분명 ‘무언가가 있긴 있는데’ 하는 상황입니다.

 

주인(主)을 남편을 상징하는 것으로 보아 ‘딱 걸렸다’는 그런 의미로 인용하기도 합니다. 잔치나 문상을 갔다온다고 나간 남편인데, 길에서 마주친 것입니다. 그렇다면 그 날은 정말 힘든 날이 되지 않을까요? 이러한 의미를 확장하여 ‘부부간에 금슬이 좋지 못함’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남편도 바깥으로 돌고, 아내도 바깥으로 돌다보니 길거리에서 만나게 되는 것입니다. 이러한 해석은 효의 자리가치를 인정하는 역자들의 견해를 반영하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 효사가 나오는 둘째효가 아내의 자리이며, 첫째효(아들)에 의존하며 셋째효(남편)를 통제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타(其他) > 명언(名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삼인손일(三人損一)  (0) 2010.03.04
대건붕래(大蹇朋來)  (0) 2010.03.04
입우좌복(入于左腹)  (0) 2010.03.04
진여석서(晉如鼫鼠)  (0) 2010.03.03
저양촉번(羝羊觸藩)  (2) 2010.03.03
:
Posted by 오빠야닷컴
2010. 3. 4. 13:19

입우좌복(入于左腹) 기타(其他)/명언(名言)2010. 3. 4. 13:19

  입우좌복(入于左腹)『주역』 명이(明夷)괘에 나오는 명언으로 직역하면 ‘왼쪽 배에 들어간다’는 뜻입니다. 복(腹)을 동굴, 중심 등등으로 다르게 해석하기도 하지만, 좌복(左腹)은 심장이 위치하고 있는 가슴을 뜻한다고 보는 것이 보통입니다. 『상전』에서 ‘그 마음을 얻는것이다[獲心意也]’라고 하는 해설에 기인합니다.

 

그래서, 흔히 인용하는 경우는 ‘그 속셈(마음)을 알아차렸다’는 것을 표현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로부터 전통적으로 ‘마음이 심장에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고 합니다. 지금도 사망을 판단할 경우에 심장의 박동이 멈추는 때를 기준으로 합니다. 기쁘고 슬픈 마음의 변화에, 두근거리고 고통스런 이상반응을 보이는 곳이 심장이기 때문이었을까요? 세계적으로 뇌가 죽는 뇌사로 옮겨오고 있는 것이 추세이긴 합니다만, 심장이 뛰고 있으면 표현하지 못할 뿐 마음은 살아있다고 생각하는 분들이 여전히 많은 것 같습니다. 현대의학적으로는 어떤지 모르겠지만요.

 

종종 ‘요직으로 나아가다’는 의미로도 인용합니다. 목적한 일을 성취하기 위해서 아주 좋은 위치를 선점했다는 뜻입니다. 영업을 하는 경우라면 목 좋은 곳에 영업점을 얻은 것을 생각할 수 있을 것입니다.

 

들어가는 주체가 나가 아닌 것을 상정해서 ‘마음을 다쳤다’ 혹은 ‘마음을 뺐겼다’는 의미로도 인용하기도 합니다. 짝사랑의 경우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들이대는 상황에서 ‘왜 이러십니까’ 한다면, ‘주역에 입우좌복(入于左腹)이라 하지 않았습니까? 그러니 저를 나무라지 마셔요’ 하면 될 것 같습니다.

예! 침입한 사람이 잘못이지요 ^^

'기타(其他) > 명언(名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건붕래(大蹇朋來)  (0) 2010.03.04
우주우항(遇主于巷)  (0) 2010.03.04
진여석서(晉如鼫鼠)  (0) 2010.03.03
저양촉번(羝羊觸藩)  (2) 2010.03.03
불항기덕(不恒其德)  (0) 2010.03.02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