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4

« 2024/4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전체 글'에 해당되는 글 180

  1. 2013.01.12 제2편 위정(爲政) 제20장
  2. 2013.01.11 제2편 위정(爲政) 제19장
2013. 1. 12. 13:44

제2편 위정(爲政) 제20장 간상(赶上)/논어(論語)2013. 1. 12. 13:44

계강자가 묻기를 [季康子問:]
백성이 공경하고 충성하고 이를 권면하게 하려면 어찌해야 합니까? [使民敬, 忠以勸, 如之何]
공자 말씀하셨네 [子曰:]
엄숙히 임하면 백성이 공경하게 되고[臨之以莊, 則敬]
효도하고 자애하면 백성이 충성하게 됩니다[孝慈, 則忠]
선한 이를 등용하여 그렇지 않은 이를 교화하면 권면하게 됩니다[舉善而敎不能, 則勸]


  앞 장의 애공의 질문과 다를 것이 없는 질문이다. 답도 마찬가지다. "너나 잘하세요."


  왜 《논어》에서 연속으로 실어놓았을까? 시대와 문화가 바뀌어도 계속되는 중요한 질문이기 때문이다. "우리 아이가 말 잘 듣고 공부 잘하게 하려면 어찌해야 합니까? 내 마누라가 남편을 무시하지 않게 하려면 어찌해야죠? 내 학생이 선생의 말을 잘 따르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이런 식의 질문으로 변해서 이어진다. 수백 년이 지나도 비슷한 상담을 받으려 줄을 서지 않을까? "당신 탓이요" 라는 마음이 이런 질문의 본질이기에 그리 예상한다.

  너만 바꾸면 다 좋아질 것이라는 계산. 그러나 나를 떠나서 답을 찾지 말라는 것이 유가(儒家)의 확고한 가르침이다. 문제의 해결은 언제나 '나'로부터 시작해야 한다고 유학은 말한다.

  군자는 자기에게 요구하고, 소인은 남에게 요구한다[제15편 위령공 제20장]


  가정불화를 겪는 두 남녀가 공자를 찾았다고 하자. 남편이 물으면 남편 도리부터 잘해라, 부인이 물으면 부인 도리부터 잘해라가 답이다. 그렇다면 백성이 계강자를 바르게 하는 방법을 물어도 마찬가지일까? 역시 효도하고 우애하고 공경하라는 답이 예상된다. 하지만 "그것은 가신들에게 맡겨두고"라는 전제를 깔 것이다. 말하자면, 유학의 명분론이다. 백성이라는 이름이 아닌 가신이 되어야 그런 마음을 품을 수 있음이다.

  그 지위에 있지 않으면 그 정무에 간섭하려 하지 마라[제8편 태백 제14장]


  유학의 이 명분론(名分論)이 오해와 비난을 많이 받곤 한다. 이것은 권위주의인가? 아래에서 편향적으로 보면 그러하다. 그러나 남편 역시 부인의 살림살이를 간섭하지 않아야 한다. 맡은 본분에 충실하고 그 밖의 일은 믿고 맡긴다는 것이 핵심이다. 결코, 권위가 주(主)가 아니다. 공자 역시 향당(부형과 종족이 사는 고을)에 있을 때는 마치 말을 못하는 벙어리처럼 있었다.

공자께서 향당에 계실 때는 신실하셔서 마치 말을 못하는 사람과 같으셨고, 종묘와 조정에서는 분명히 말씀하시되 삼가서 하셨다. [제10편 향당 제1장]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위정(爲政) 제22장  (0) 2013.01.14
제2편 위정(爲政) 제21장  (0) 2013.01.13
제2편 위정(爲政) 제19장  (0) 2013.01.11
제2편 위정(爲政) 제18장  (0) 2013.01.10
제2편 위정(爲政) 제17장  (0) 2013.01.09
:
Posted by 오빠야닷컴
2013. 1. 11. 20:24

제2편 위정(爲政) 제19장 간상(赶上)/논어(論語)2013. 1. 11. 20:24

애공이 묻기를 [哀公問曰:]
 - "어찌하면 백성을 복종시킬 수 있습니까?" [何為則民服]
공자 말씀하셨네 [孔子對曰:]
 - 곧고 바른 사람을 등용해서 굽은 사람 위에 두십시오 [舉直錯諸枉]
 - 그러면 백성이 복종할 것입니다 [則民服]
 - 굽은 사람을 등용해서 곧은 사람 위에 두신다면 [舉枉錯諸直]
 - 백성이 복종하지 않을 것입니다 [則民不服]

 

  애공(哀公)은 공자의 출신지인 노(魯)나라의 군주였다. 애공은 이 문제가 백성들 탓이라 여겼으리라. 그래서 강력한 형벌로 다스릴지 혹은 교육을 시킬지 갈등하지 않았을까? 그런데 공자의 답은 '당신이 인사(人事)를 잘하세요'다. 《논어》에는 이런 뜻의 가르침이 많다. 계강자의 정치 질문에 대한 답도 마찬가지다.

그대가 솔선해서 스스로 바로 하면 누가 감히 바르지 않겠는가? [제12편 안연 제17장]

 

  관심 있게 지켜볼 점은 '없애는 방법'을 사용하지 않음이다. 굽은 사람이라고 결코 제거하지 않는다. 살아있는 사람이라면 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곧은 사람을 윗 자리에 두면 그에게 감화될 것이라는 처방을 내린다. 이는 논어의 그 유명한 '바람과 풀의 비유'와도 통한다. 

(계강자가 무도한 사람들을 죽여버릴 것을 묻자 공자 말씀하시길)
그대는 정치를 한다면서-정치는 사람을 살리고자 하는 일인데-  어찌 사람을 죽이려고 하는가? 그대가 좋은 사람이 되고자 하면 백성도 저절로 좋아질 것이다. 군자의 덕은 바람이요 백성의 덕은 풀이라서, 풀은 바람을 따라 눕는 법이다. [제12편 안연 제19장]

 

  그리고 과거에 굽었더라도 고치면 문제 삼을 필요가 없다. 이미 지난 잘못은 허물하지 않아야 한다고 하였으니, 용서에 인색한 사람 역시 소인 아닐까?

잘못을 하고서 고치지 않는 것을 잘못이라고 한다. [제15편 위령공 제30장]
이미 지나간 일이라면 더는 탓하지 않는다. [제3편 팔일 제22장]

'간상(赶上) > 논어(論語)'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2편 위정(爲政) 제21장  (0) 2013.01.13
제2편 위정(爲政) 제20장  (0) 2013.01.12
제2편 위정(爲政) 제18장  (0) 2013.01.10
제2편 위정(爲政) 제17장  (0) 2013.01.09
제2편 위정(爲政) 제16장  (4) 2013.01.07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