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

« 2024/3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11

泰 小往大來 吉 亨
【初九】拔茅茹以其彙 征 吉
【九二】包荒用馮河 不遐遺朋亡 得尚于中行
【九三】无平不陂 无往不復 艱貞 无咎 勿恤 其孚于食有福
【六四】翩翩 不富 以其鄰 不戒以孚
【六五】帝乙歸妹 以祉 元吉
【上六】城復于隍 勿用師 自邑告命 貞 吝

  태(泰)괘는 어울리는 것을 뜻한다. 어울리지 못하면 아무 일도 할 수가 없다. 사회를 떠나서 개인은 존재할 수도 의미를 가질 수도 없는 법이다. 수치상으로는 선진국의 수준에 근접한 경제력을 가지게 되었지만, 그 경제력에 맞는 수준의 교양과 인성을 갖춘 것 같지는 않다. 불명예스럽게도 우리는 세계에 나가면 얼글리 코리안(ugly korean)으로 통한다고 한다. 자공이 공자께 한마디 말로서 일생동안 행할만한 것이 있느냐고 묻자, 공자께서는 서(恕)라고 하셨다[논어 제15편 위령공 제24장]. 즉 마음(心)을 같게(如)하는 것을 말함인데, 그것이 어울리는 도(道)이며, 함께 더불어 사는 사람의 길이 될 것이다. 내가 하고 싶지 않은 것을 남에게 요구하지 않는 것은 그 하나의 행동양식이다.

 

泰 小往大來 吉 亨
어울림(泰)은 작은 것을 보내고 큰 것이 오게 하는 것이니(小往大來) 그래야 성장(亨)할 수 있다.
  간혹 무인도에 떨궈 놓아도 잘 살 것 같은 연예인의 순위를 정하고는 한다. 그러나 무인도에 혼자만 떨궈 놓아도 잘 살아나갈 수 있는 사람은 상상속에서만 가능할 것이다. 인간을 가장 괴롭게 하는 것 중의 하나가 외로움과 고독함이다. 교도소에서 죄수를 독방으로 보내는 것은 징벌이지, 편하게 하고자 하는 까닭이 아니다. 사람은 어울려야 하고 더불어 살아야 한다.

 

拔茅茹以其彙 征 吉
띠풀 하나를 뽑으면 뿌리가 얽힌 여러 포기가 함께 뽑히니(拔茅茹以其彙) 그렇게 사람들과 엮여서 나아가야(征) 길하리라(吉).
  살아도 같이 살고, 죽어도 같이 죽자는 맹세가 단순한 호기가 아니다. 지구상의 많은 생명들 중에는 무리를 지어 생활하는 동물이 있고 그렇지 않는 동물이 있다. 사람은 무리를 지어 어울려야 하는 생명체다. 단독으로는 호랑이의 힘을 당해낼 수 없고, 치타의 빠르기를 당해낼 수 없어도 만물의 영장으로 군림할 수 있는 까닭은 뭉쳐서 힘을 극대화 할 수 있기 때문이다.

 

包荒用馮河 不遐遺朋亡 得尚于中行
작은 나룻배로 거친 물살을 건너는(包荒用馮河) 과감한 용기도 중요하지만 친구를 멀리하거나 잃지 않아야(不遐遺朋亡) 바른 길로 나아가는데(于中行) 큰 도움을 받을 것이다(得尚).
  모두가 NO라고 할 때, YES라고 할 수 있는 그러한 소신이 필요할 때도 있지만, 그 소신을 펼치기 위해 고립되고 고독해지기 보다는 친구를 잃지 않는 것이 더 중하니, 모두 함께 YES하도록 만들어 어울려 나가는 것이 좋다. 통하지 않는다고 무리에서 이탈하는 것보다는 때가 지나가기를 기다리는 것이 또한 현명할 것이다. 사악함이 무리를 흔들 수 있는 시간은 찰나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공자께서 불가능한 것을 애쓰지 말고 은거하라는 은자의 충고에 아파하며 말씀하셨다. “새와 짐승과 사람이 함께 숲에서 어울려 생활하지는 못하는 법이다. 내가 인류의 무리와 함께 하지 않고 누구와 함께 하겠는가?”[논어 제18편 미자 제6장]

 

无平不陂 无往不復 艱貞 无咎 勿恤 其孚于食有福
비탈지지 않은 평지는 없고(无平不陂) 돌아오지 않는 떠남은 없으니(无往不復) 고난으로 끝나더라도(艱貞) 허물이 없다면(无咎) 걱정하지 말라(勿恤). 신념을 추구했다면(其孚) 그렇게 살았음에(于食) 복이 있음이다(有福).
  허물(咎)은 내적인 것이요, 길흉(吉凶)과 명예는 외적인 것이라고 하였다. 스스로 돌아보아 허물이 없다면 그 결과가 신통치 않더라도 상심하지 말라는 말이다. 만사가 의도한대로 되는 것 만은 아니니, 바른 신념을 추구했다면 결과를 따져 근심할 필요는 없다. 과정이 더 중요할 것이다.

 

翩翩 不富 以其鄰 不戒以孚
훨훨 나는(翩翩) 새의 무리는 부유하지 않더라도(不富) 그 이웃과 함께 하니(以其鄰) 신념이 있음으로써(以孚) 두려울 것이 없는 법이다(不戒).
  새는 인간에게 많은 교훈과 감동을 주는 동물이다. 특히 기러기는 그 아름다운 사랑과 가족애 때문에 남자가 조각하여 베필을 맞으려 가져가기도 하였다. 무리를 지어 함께 이동하는 새들은 부유함으로써 어울리는 것이 아니다. 차별이 없고 견줌이 없다. 함께 하는 것 그것을 좋아하며 무리를 지어 어울린다.

 

帝乙歸妹 以祉 元吉
제을이 딸을 시집보내는 것(帝乙歸妹)은 복(以祉)으로써 근원적으로 길하다(元吉).
  제을(帝乙)은 딸을 문왕에게 시집보냈다. 주공과 문왕은 공자께서 흠모하던 공자 이전 시대의 성인들이기도 하다. 혼사로서 문왕과 인연이 맺어져 어울릴 수 있게 된 것은 하늘이 맺어준 복이요, 하늘이 맺어준 어울림이다. 아무나 문왕과 혼사로서 어울릴 수는 없을 것이니, 근원적으로 길한 어울림이다.

 

城復于隍 勿用師 自邑告命 貞 吝
마른 도랑으로 인해(于隍) 성이 무너졌어도(城復) 전쟁을 하려 하지말라(勿用師). 고을에 찾아가 엎드려 도움을 청해도(自邑告命) 끝내(貞) 어렵게(吝) 될 것이다.
  성을 쌓고 그 주위로 도랑을 만들고 물을 채우는 이유는 적이 쉽게 성을 오를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이 도랑이 말라있는 이유는 마을 사람들과 성주의 어울림이 각박한 까닭이다. 이웃과 어울려 그 마음을 나누지 못했는데 어떻게 어려울 때 도움을 기대할 수가 있겠는가?

:
Posted by 오빠야닷컴
08

比 吉 原筮元 永貞无咎 不寧方來 後夫 凶
【初六】有孚 比之无咎 有孚盈缶 終來有它 吉
【六二】比之自內 貞 吉
【六三】比之匪人
【六四】外比之 貞 吉
【九五】顯比 王用三驅 失前禽 邑人不誡 吉
【上六】比之无首 凶

경쟁은 사람이 모이면 이뤄질 수 밖에 없는 것이고, 경쟁은 다툼(訟)과는 달리 상대를 배척하는 것이 아니므로 긍정적인 것이다. 그래서 비(比)는 두 사람이 나란히 같은 방향으로 서 있는 모습이다. 공자께서도 “군자는 겨루지 않지만 활쏘기는 예외이니 서로 읍하여 예를 갖추고 당에 올라 시합한 후 벌주를 마시는 것이다. 이런 것이 군자의 경쟁인 것이다”[논어 제3편 팔일 제7장]라고 하셨다. 명중하지 못하는 이유를 남에게 구하는 것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서 구하는 것이니, 공자께서 말씀하셨던 ‘남에게 요구하지 않고 나에게 요구한다’는 취지가 담겨있기 때문이다.

 

比 吉 原筮 元永貞 无咎 不寧方來 後夫 凶
경쟁(比)은 길하니(吉) 처음 점을 친(原筮) 마음으로 처음부터(元) 끝까지(貞) 계속되면 허물이 없을 것이나(无咎) 편안하지 않아(不寧) 다시 점을 치려는 마음이면(方來) 그 후에는 장부라도(後夫) 흉할 것(凶)이다.
  주역의 네 번째 몽(蒙)괘에서 말한 처음 점을 치는 마음과 재차 점을 치는 더렵혀진 마음을 빗대어 경쟁의 길흉을 논하고 있다. 처음에 순수한 경쟁으로 시작한 마음이 끝까지 계속되어야지 길하고 허물이 없지만, 그 마음이 바뀌어 승부욕이 생긴 이후라면 흉하다고 한다. 성리학이 리(理)와 기(氣)의 관계를 두고 오랫동안 논쟁을 벌였던 것과 같이 ‘행동이 마음을 이끌 수 있는가’는 쉽게 답하기 힘든 논제일 것이다. 일례로, ‘착한 행동을 의식 없이 하다 보면 착한 마음이 생기는가’의 문제인데, 어쨋건 주역은 행위가 마음을 변화시키는 것을 경계하고 있다. 처음에는 훈육하는 마음으로 뺨을 한대 때렸다가 자기도 모르게 동물적 폭력성이 발동하여 아이들을 무참히 폭행하는 한 교사의 동영상이 유포되어 문제가 되기도 했다. 경쟁이란 행위를 시작하여도 그 행위에 내재한 승부욕에 굴복하지 말고 처음의 순수성을 끝까지 지켜야 길하다고 한다.

 

有孚 比之无咎 有孚盈缶 終來有它 吉
신념을 가진(有孚) 경쟁이어야 허물이 없다(比之无咎) 신념을 질그릇을 넘치게 할 정도로(有孚盈缶) 돈독히 하면 경쟁이 끝나도 상대가 남아있게 될 것이니(終來有它) 길하다(吉).
  신념이 있는 경쟁이란 승부욕이 배제된 예컨대, 함께 지혜를 모아 찾아가는 그러한 경쟁이다. 질그릇을 넘치게 할 정도로 넉넉한 마음이 아니라면, 모르는 것도 아는 것으로 둔갑시키고 한양을 못 가본 이가 한양을 가 본 이를 이기려 하니 곧, 경쟁이 아니라 다툼(訟)이 되어버린다. 점을 재차 치는 더럽혀진 마음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공자께서 “아는 것은 안다고 하고 모르는 것은 모른다고 하는 것이 진정으로 아는 것이다”[논어 제2편 위정 제17장]라고 하셨다.

 

比之自內 貞 吉
경쟁이라는 것은(比之) 자기 내면(自內)과의 승부라면 끝까지(貞) 길하다(吉).
  경쟁의 본질은 ‘자기 자신과의 싸움’이어야 한다. 자기 자신에게 찾지 않고 그 탓을 남에게 돌리면 원망하고 미워하게 된다. 이미 여러번 언급하였지만, 공자께서 “군자는 자기에게 요구하고 소인은 다른 사람에게 요구한다”[논어 제15편 위령공 제21장]고 하신 말씀과 같은 맥락이다.

 

比之匪人
경쟁이라는 것은(比之) 사람이 우열을 결정하는 것이 아니다(匪人).

  실력이 절대적으로 이기는 것이라면 아마도 스포츠 경기는 재미가 없어서 존재하지 않게 되었을 것이다. 브라질이 늘 월드컵에서 우승하지는 못하는 이유는 반드시 전력으로만 우열이 가려지지는 않고 "승운"이라는 알 수 없는 힘이 개입되기 때문이다. 전적으로 사람이 장악할 수 없는 것이 또한 경쟁의 결과이다.

 

顯比 王用三驅 失前禽 邑人不誡 吉
사냥 같은 큰 경쟁에 있어서도(顯比) 임금은 세 방향만 막고(王用三驅) 한 곳은 남겨두는 법이다. 설령 사냥감을 놓쳐도(失前禽) 백성들이 두려워하지 않게 하는 배려이니(邑人不誡) 이런 경쟁이 길하다(吉)
  세 방향을 막고 한 곳을 남겨두는 것은 그 책임을 자기에게서 찾으려는 것이지 다른 곳에서 찾으려는 것이 아닌 까닭이다. 사냥감을 놓친 백성탓이 아니라 한방향을 막지 않도록 한 임금 자신의 책임으로 돌리고자 한 까닭이다. 경쟁에서 뒤쳐진 자가 두려워해서는 안 되는 것이 길하다는 의미이다. 오늘날 학생들의 시험은 싸움이 아니라 경쟁이다. 그런데, 경쟁에서 뒤쳐지면 두려워 해야 한다. 승자독식의 세상이 되었기 때문일 것이다.   

 

比之无首 凶
그러나 경쟁에서 우열을 정하지 않는 것(比之无首)은 흉하다(凶)

  우열을 정해주지 않으면 경쟁이 끝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주역은 시작이 있고 끝이 있고 그리고 다시 시작되는 순조로운 변화를 말한다. 그러나 경쟁이 시작되어 우열을 정하지 않는다면 끝맺음을 제대로 하지 못한 것이니 흉하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05

需 有孚 光亨 貞吉 利涉大川
【初九】需于郊 利用恒 无咎
【九二】需于沙 小有言 終吉
【九三】需于泥 致寇至
【六四】需于血 出自穴
【九五】需于酒食 貞吉
【上六】入于穴 有不速之客三人 來敬之 終吉

  주역은 첫 괘에서 ‘잠용일 때 움직이려 하지 마라’고 충고하면서, 모든 일에는 때가 있는 법이라고 하였다. 그렇다면 그 때가 언제일까? 그에 대한 답이 되는 괘가 수(需)괘라고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청하지 않은 세 명의 손님이 찾아오면 때가 도래하였다고 하였으니, 곧 사람이 인지할 수 있는 것은 사람을 만나게 되는 때이다. 대부분의 동물은 본능적으로 따뜻한 곳을 찾아 움직인다. 그러나 사막에 사는 동물도 있고 북극에 사는 동물도 있다. 스스로가 따뜻하다면 따뜻함을 좋아하는 사람(귀인)이 찾아올 것이요, 스스로가 차갑다면 추위를 좋아하는 사람(악인)이 찾아올 것이다. 결국 바르게 살면 그 바름(따뜻함)에 이끌려 찾아오는 사람이 있을 것이다. 공자께서는 “덕은 외로울 수가 없으니 반드시 이웃이 생긴다”[논어 제4편 이인 제25장]고 하셨다.

 

需 有孚 光亨 貞吉 利涉大川
기다림(需)은 뜻이 있어야(有孚) 크게 형통하니(光亨) 끝까지 길하다(貞吉). 큰 강을 건너는 과단성을 가져야 이롭다(利涉大川)
  부(孚)는 주역에서 정말 자주 만나게 되는 단어다. 새가 알을 품는 것을 뜻하는 글자인데, 믿음, 신념, 마음, 사상 등등 적당하게 번역하기가 어렵다. 어쨋건, ‘생각 없는 것’의 반대되는 개념이다. 여기서는 뜻을 추구하기 위한 기다림이어야지 생각 없이 시간만 보내는 것을 경계한 뜻으로 새기면 될 것이다. 생각 없이 시간을 보내는 것은 기다림이 아니라 시간의 낭비일 뿐이다. 리섭대천(利涉大川) 또한 주역 전편에서 자주 만나게 되는 말이다. 큰 강은 ‘소통의 어려움’을 상징하는 것이니, 잘 소통되지 않더라도 건너라는 과단성을 의미하고 있다. 『맹자』의 "부유하고 귀한 것이 흔들 수 없고, 가난하고 비천한 것이 바꾸게 할 수 없고 위협과 무력이 굽히게 할 수 없다"는 구절이 떠올려진다.  
 

需于郊 利用恒 无咎
장소를 벗어난 기다림(需于郊)이라면 뜻을 잃지않고 확고히 하여야 이롭고(利用恒) 허물이 없다(无咎)
  유비가 때를 기다리며 농사꾼으로 지내기도 했고, 흥선대원군이 바보 행세를 하며 세도가의 가랑이를 기어 다니며 걸식을 하였다는 얘기도 전한다. 그러나 가슴에 품은 뜻은 변함이 없었을 것이다(恒). 힘겨우면 쉽게 현실과의 타협을 하려는 마음이 생기는 법이다. 

 

需于沙 小有言 終吉
모래밭에서 기다림(需于沙)은 소소한 비난은 있을지언정(小有言) 끝내 길하다(終吉)
  모래밭에서 기다리는 것은 쉽게 장소를 옮길 수 있는 곳에서 기다리는 것을 말한다. 교수를 꿈꾸던 사람이 잠시 곤궁을 벗어나려고 학원강사가 되었다가 헤어나오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 물론 학원강사로서 보람과 즐거움을 느껴 ‘정착’하는 것이라면 그것은 오히려 자신이 있어야 할 제자리를 찾아간 것일 것이다. 모래밭과 진흙밭은 ‘강물’이라는 위험에서 멀리 떨어져 있거나(모래밭), 근접하여 있는(진흙밭) 거리의 차이라고 구별하기도 한다.  
 

需于泥 致寇至
진흙밭에서 기다림(需于泥)은 도적을 불러들이는 일이다(致寇至)
  진흙밭에서 기다리는 것은 쉽게 장소를 옮길 수 없는 곳에서 기다리는 것을 말한다. 이게 아닌데 하면서도 빠져 나오기 힘든 곳에 있는 것이니, 그런 장소로 나아가 기다리는 것은 자기의 가장 소중한 시간을 훔쳐가고 있는 도적을 만나고 있는 것이다.

 

需于血 出自穴
피가 흐르게 되면(需于血) 스스로 굴 밖으로 나와야 한다(出自穴)
  혈(血)은 신변에 위협이 되는 위험이 닥친 것으로, 주역은 기다림을 고집하지 말고 굴 밖으로 나오라고 충고한다. 그 곳에서 참고 기다리는 것은 기다림으로 합리화 시키면서 고집을 부리는 것과 다름없는 것일게다. 기다림은 수동적으로 웅크리는 것만은 아닐 것이다. 적극적으로 움직일 수도 있어야 한다. 위험을 방관하는 것은 기다리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자기를 버리는 것이다.

 

需于酒食 貞吉
경제적 기반 속에서 기다려야(需于酒食) 끝까지 길하다(貞吉)
  술과 음식은 생계에 대한 걱정은 없는 것을 말한다. 과거 선비들이 산림에 묻혀서 처사형 학자로서 일생을 살 수 있었던 까닭은 생계에 대한 걱정이 없었기 때문일 지도 모른다. 공자께서 왜 다재다능한지를 질문 받고 “젊어서 곤궁했기 때문에 잡다한 기술을 배웠다”고 하셨다[논어 제9편 자한 제6장]. 성인께서도 뜻을 펼치기 이전에 생계를 먼저 돌아보신 것이다.  『상전』은 길한 까닭을 ‘중정(中正)하기 때문이다’고 해설한다. 유가(儒家)는 이로움을 혐오하지는 않는다. 행복은 ‘마음'으로 느끼는 것이지만, 그렇다고 행복이 물질과 완전한 별개로 떨어져 있다고 보지도 않는 것이 유학의 시선이다. 때를 기다림도 최소한의 물질적 기반은 갖추어야 길할 것이다. 

 

入于穴 有不速之客三人 來敬之 終吉
목적지로 나아감은(入于穴) 청하지 않은 세 명의 손님이 찾아오는 때이니(有不速之客三人) 그들을 공경으로 받들면(來敬之) 마침내 길하다(終吉)
  세 사람의 손님은 천지인(天地人)이다. 궁극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 것은 사람 즉, 귀인이라고 부르는 이를 만나게 되는 것이다. 세 명의 손님을 공경으로 받들어야 한다고 하니, 하늘과 땅과 사람에 대한 고마움을 잊지 말라는 주역의 당부도 담겨있다. 입우혈(入于穴)을 피냄새가 진동하여 빠져나왔던 그 위험한(血) 곳으로 찾아가는 것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삼인(三人)을 많은 사람으로 해석하기도 한다. 어떻게 해석해도 통(通)할 것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04

蒙 亨 匪我求童蒙 童蒙求我 初筮告 再三瀆 瀆則不告 利貞
【初六】發蒙 利用刑人 用說桎梏 以往 吝
【九二】包蒙 吉 納婦 吉 子克家
【六三】勿用取女 見金夫 不有躬 无攸利
【六四】困蒙吝
【六五】童蒙吉
【上九】擊蒙 不利爲寇 利禦寇

  몽(蒙)괘는 몽매함, 어두움을 뜻하는 괘다. 순조롭게 씨앗(元)으로부터 성장하고(亨) 열매를 맺고(利) 죽을(貞) 수 있는 원형리정(元亨利貞)을 이끄는 가장 중요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건(乾)괘 구삼(九三)효의 '군자(君子)가 되어 종일(終日) 최선의 노력을 다하는(乾乾) 것'을 뜻한다고 보아도 무방할 것이다.  다만, 익힐 습(習)자가 어미새의 날개짓을 따라하는 새끼를 상징하고 있는 것처럼, 배움은 날개짓을 보여주는 어미새의 가르침에서 출발을 한다. 그래서 주역의 몽괘는 주로 몽매함을 깨우쳐 주는 입장에서 효사를 서술하고 있다.

  한편, 주역의 첫 4괘가 독립적이고, 순차적인 것은 아니다. 예컨대, 배워(蒙) 자신을 닦고, 때가 되어(乾) 사람을 만나고(屯) 사람을 만나 제 자리로 나아가고(坤) 그래서 다시 나아갈 때가 도래하고(乾) 그렇게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蒙 亨 匪我求童蒙 童蒙求我
몽매함(蒙)은 성장기(亨)의 일이니 내가 동몽에게 요구하는 것이 아니라(匪我求童蒙) 동몽이 나에게 요구하여야 한다(童蒙求我)

  몽매함을 깨우쳐야 할 때는 성장기(亨)여야 한다. 배움도 배워야할 시간에 맞아야 한다. 동몽(童蒙)은 몽매한 어린아이이다. 그 어린아이가 자발적으로 몽매함을 깨뜨리려 다가와야 하는 것이지, 억지로 어린아이의 몽매함을 깨우쳐 주려고 하면 안 된다는 말이다. 주입식으로 교육함은 바르지 않다는 뜻이니, 곧 공자께서 "사람이 도(道)를 넓히는 것이지, 도(道)가 사람을 넓히는 것이 아니다"[논어 제15편 위령공 제29장]라고 하신 말씀과 같은 뜻이다. 스스로 나아가려고 해야 하는 것이 중요하다.

 

初筮告 再三瀆 瀆則不告 利貞
처음 점을 치면 미래를 알려주지만(初筮告) 계속 점을 치면 더럽혀지고(再三瀆) 더럽혀지니 알려주지 않는다(瀆則不告). 그렇게 점을 치려면 그쳐야 이롭다(利貞)
  처음 점을 치는 마음은 곧 호기심과 궁금함일 뿐이다. 그러나 계속 점을 치는 까닭은 의심하고 더 이로운 점괘를 원하는 욕심과 탐욕이 생겨난 때문일 것이다. 즉, 마음이 맑지 못하면 점도 배움도 소용없는 것이니 차라리 그치는 것이 이롭다. 
 

發蒙 利用刑人 用說桎梏 以往 吝
몽매함을 깨우쳐 주는 것(發蒙)은 형인을 사용하면(用刑人) 이로우나(利) 그 속박을 풀어주어야 하니(用說桎梏) 형벌로만 나아가면(以往) 어렵게(吝) 된다. 
  발몽(發蒙)은 몽매함을 깨우쳐 스스로를 개발하게 하는 것이다. 형인을 사용함은 곧 매를 들어 엄격하게 가르치는 것을 말함인데, 그러한 교육이 본질적으로는 이로우나 그 엄격한 속박을 풀어주기도 해야 하니, 곧 채찍과 당근의 조화로운 교육이 되어야 함을 말한다. 질(桎)은 손을 묶고, 곡(梏)은 발을 묶는 형구라고 한다. 지나치게 엄격해도 지나치게 달콤해도 바람직한 교육이 될 수 없다. 중용에 서야 한다.

 

包蒙 吉 納婦 吉 子克家
몽매함을 아울러야(包蒙) 길(吉)하니 부인의 생각을 받아들여야(納婦) 길(吉)하다. 그래야 자식이 집안을 잘 이루게 된다(子克家)
  포몽(包蒙)은 몽매함을 함께 보듬어야 한다는 뜻이니 곧, 남편이 부인 의견도 받아들여서 함께 가르치는 것을 말한다. 남자는 여성인 어머니로부터 몽매함을 보완해야 할 부분도 있다. 여자를 이해할 수 있어야 훗날 집안을 조화롭게 세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勿用取女 見金夫 不有躬 无攸利
여자(女)를 취하려 하지마라(勿用取) 그 여자는 사내를 돈으로만 보아(見金夫) 있어야할 곳을 벗어날(不有躬) 것이니 유리할게 없다(无攸利)
  여자(女)는 몽매(蒙)한 여인을 말한다. 계모가 아니라 친모라도 본분을 모르는 사람이 많이 있다. 부인(婦)이 될 자격이 없는 여자(女)이다. 있어야 할 곳은 자녀를 교육하는 어머니의 자리를 말한다. 몽매하여 남자의 돈만 보고 있으니 스스로가 몽매한데, 어찌 자식의 몽매함을 깨우쳐 줄 수 있겠는가?

 

困蒙吝
몽매함이 곤궁하면 소용없다(困蒙吝)

  배움에 뜻이 없고 가르쳐도 되지 않는 아이들을 말함이니, 그런 아이들에게 애를 써도 소용이 없다는 말이다. 같은 상황은 아니지만, 공자께서 “썩은 나무에는 조각을 할 수 없고, 썩은 흙으로 쌓은 담장에는 흙손질을 할 수 없다”[논어 제5편 공야장 제10장]고 하신 말씀을 떠 올리게 한다.

 

童蒙吉
차라리 동몽(童蒙)이어야 길(吉)하다
  배움에 뜻이 없고 가르쳐도 되지 않는 곤몽의 아이들은 차라리 동몽으로 남겨두는 것이 길하다는 것이다. 애쓰면 애쓰는 사람도 따라야 하는 사람도 힘들고 고통스럽기만 할 것이다. 이 효사를 ‘어린아이의 순순함을 간직하게 해야 하는 것이 길하다’로 해석하거나, ‘동몽처럼 늘 가르침을 청하는 겸손한 자세를 가지게 하는 것이 길하다'로 해석하기도 한다.

 

擊蒙 不利爲寇 利禦寇
몽매함 깨뜨리는 것(擊蒙)은 도적이 되는 것은 이롭지 않고(不利爲寇) 도적을 방어하는 것이어야 이롭다(利禦寇)
  격몽(擊蒙)은 율곡 이이 선생의 『격몽요결』의 서문에서 언급한 학문이 나아갈 방향을 의미한다. 도적은 사람의 내면에 잠재한 악(惡)성이다. 악성을 없애는 공부가 아니라면, 배운 지식은 도적질을 위해 사용하게 될 것이다. 도적을 방어하는 것은 곧 마음속에 도적이 침범하지 못하게 하는 것을 말함이니, 선성(善性)을 지키는 것을 말한다. 유학에서의 배운 선비는 그 배움으로 부족한 자를 도와야 하는 무거운 짐을 진 자이다. 그래서, 증자께서 말씀하셨다 “선비는 책임이 무겁고 갈 길이 멀다. 인을 짐져야 하니 어찌 무겁지 않겠는가? 죽어서야 그 짐을 내려놓을 수 있으니 어찌 멀지 않겠는가?[논어 제8편 태백 제7장]”

:
Posted by 오빠야닷컴
03

屯 元亨利貞 勿用 有攸往 利建侯
【初九】磐桓 利居貞 利建侯
【六二】屯如邅如 乘馬班如 匪寇婚媾 女子貞不字 十年乃字
【六三】即鹿无虞 惟入于林中 君子 幾 不如舍 往 吝
【六四】乘馬班如 求婚媾 往 吉 无不利
【九五】屯其膏 小貞吉 大貞凶
【上六】乘馬班如 泣血漣如

  준(屯)괘는 만남을 뜻하는 것으로, 건(乾)괘에서 말한 순조로운 원형리정(元亨利貞)을 위해 대인을 만나는 것(利見大人)에 대한 이야기로 연결시켜도 무방할 것 같다. 屯을 '둔'으로 읽기도 한다. 주역은 첫 괘에서 시간(하늘)의 이야기를, 두 번째 괘에서 자리(땅)의 이야기를 세 번째 괘에서 만남(사람)의 이야기를 하고 있다. 사람은 태어나서는 부모님의 보살핌을 받고, 커서는 가정과 사회의 보살핌을 받아야 하는 불완전한 존재이다. 한자로 풀면 사람(人)은 하나가 하나를 받쳐주어야만 하는 존재이다. 그 받쳐주는 근원이 되는 만남은 어떻게 이뤄지는가? 사람은 때가 되면 저절로 만날 수 있다고 한다. 오직 사람의 일을 다하고 하늘의 뜻을 기다릴 뿐이다. 만남의 성질이 음과 양의 만남이기에, 준괘의 효사는 남자가 여자를 만나는 것을 예로 들고 있을 것이다. 양과 음은 만나서 조화를 이루어야 하지만, 억지로 이룰려고 해서도, 서둘러서도 안된다. 

 

屯 元亨利貞 勿用 有攸往 利建侯
만남(屯)이 있어야 씨앗(元)으로부터 성장하고(亨) 열매를 맺고(利) 죽게(貞) 된다. 그러나 애쓰지 마라(勿用) 시간이 흐르면(有攸往) 자연스레 이뤄지는 것이니, 그보다 제후를 세우는 큰 뜻(建侯)을 펼치는 것이 이롭다(利)
  부모의 만남도 연인의 만남도 자식의 만남도 친구의 만남도 모두 사람의 뜻이 아니라 하늘의 뜻, 곧 인연(因緣)이 있어서 만나는 것이라고 했다. 그러니 애쓰지 말라고 한다. 엄밀히 구분하면 혈연적인 만남은 한계지어진 곤(坤)괘의 뜻이며, 연인과 친구와의 만남이 준괘과 의미하는 만남일 것이다.

  고대 중국은 천자가 모든 천하를 지배하여 다스릴 수 없기에 각 지역에 제후를 세워 정치를 맡겨 관리하던 봉건체제로 운영되었다. 제후는 그 지역의 왕이었지만 천자에게는 신하였다. 과거 조공을 받치던 우리나라를 중국의 제후국이었냐 아니냐 하는 논란도 이러한 중국의 전통적 지배체제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어쨌건 제후를 세운다는 것은 천자가 천하를 다스리기 위해 제후를 세우듯, 큰 뜻을 펼치는 것을 말한다. 만남에 애쓰지 말고 큰 뜻을 펼치는데 애쓰라는 말이다.

 

磐桓 利居貞 利建侯
큰 돌을 놓아(磐桓) 멈추어야 이롭고(利居貞) 제후를 세우는 큰 뜻을 펼치는 것이 이롭다(利建侯)
  반환(磐桓)은 큰 돌을 상징하니, 고인돌을 반환이라고도 했다. 꼼작할 수 없게 큰 돌로 막아 멈추라는 말은 사랑에 방황하고 흔들리지 말라는 말이다. 과거에도 사랑의 방황은 고인돌만큼 크고 무거운 돌을 쌓지 않으면 막기 힘든 것이었나 보다. 큰 뜻을 펼치는데 진력하라는 가르침을 첫 효사부터 다시 강조하고 있다.

 

屯如邅如 乘馬班如 匪寇 婚媾 女子貞不字 十年乃字
사랑(屯如)에 혼란하여(邅如) 말을 타고 따라가면(乘馬班如) 도둑이 아닌데도(匪寇) 혼인을 청하는데(婚媾) 여자가 끝까지 허락하지 않는다(女子貞不字). 10년은 지나야 허락을 하게 된다(十年乃字)
  말을 타고 따라가는(班) 것은 지나치게 빨리 서두는 것을 말한다. 도둑이 아님은 나쁜 사람이 아님을 말한다. 사람이 좋지 않아서가 아니라 급하게 서두는 까닭과 억지로 이루려는 까닭에 여자의 허락을 받을 수 없을 것이라고 한다. 10년은 오랜 시간을 참고 기다리는 것을 말하니, 정성을 다하는 마음을 의미하는 시간이다. 주역은 지나치게 서둘러 나아갔어도 또한 억지로 이루려고 나아갔어도 10년이란 세월을 인내할 수 있다면 허락을 받을 수 있을 것이라고 한다. 공자께서는 “어질지 않은 사람이라면 궁핍한 가난을 오래 견딜 수 없고, 풍요를 오래 누릴 수도 없다[논어 제4편 이인 제2장]”고 하셨으니, 10년으로 상징되는 긴 시간을 견딜 수 있었음은 이미 성취를 이룬(제후를 세운) 사람이기 때문일 것이다. 

 

即鹿无虞 惟入于林中 君子 幾 不如舍 往 吝
사슴을 잡으러(即鹿) 몰이꾼이 없이(无虞) 숲으로 들어가면(惟入于林中) 군자라도(君子) 한번 그러면(幾) 숲을 나오지 못하는 법이니(不如舍) 가면(往) 어렵게 된다(吝)
  우(虞)는 사냥할 때 새와 짐승을 좇는 몰이꾼 역할을 하던 관리를 말한다. 사슴이란 여인을 상징한다. 10년을 기다리는 것이 정석이 아니라, 준비를 충분히 하고 사슴(여인)을 만나러 가는 것이 정석이라는 의미이다. 또한 사람(사슴)을 얻기 위해서도 사람(몰이꾼)의 도움을 얻어야 한다는 뜻을 담고 있기도 하다. 만남을 두 사람의 의지로만 유지시킬 수도 없는 까닭이다. 대표적인 예가 집안 내의 갈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乘馬班如 求婚媾 往 吉 无不利
말을 타고 따라가면서(乘馬班如) 사랑을 얻으려 했더라도 혼인을 허락 받으면(求婚媾) 나아감이(往) 길하고(吉) 이롭지 않음이 없다(无不利)
  여인을 얻으려고 말을 타고 서둘렀지만 10년을 기다렸으니(十年乃字) 혼인을 허락 받게 된 것이다. 시간을 서둘렀지만 곧 시간을 기다릴 줄 알았으니 길하고 이롭지 않음이 없는 것이다. 공자께서 "잘못을 하고서도 고치지 않는 것을 잘못이라고 한다"[논어 제15편 위령공 제30장]고 하셨으니, 고치면 그것으로 좋다.

 

屯其膏 小貞吉 大貞凶 
이득을 만나는 것(屯其膏)은 과하지 않다면 괜찮을 것이나(小貞吉) 지나치다면 흉할 것이다(大貞凶)
  고(膏)는 살찌고 기름진 고기를 뜻한다. 만남은 고통도 즐거움도 함께 나누며 동고동락(同苦同樂)하는 조력자를 만나는 것이지, 독고동락(즐거움은 나눌 수 있어도 고통은 너 혼자해라)의 만남이 아니어야 한다. 심지어 독고독락(고통은 너 혼자, 즐거움은 나 혼자)의 만남을 꿈꾸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이득(고기)을 만나는 것이 아니라 사람을 만나는 것이다. 그래서 함께 고통을 나누는 정도의 작은 이득을 꾀하는 것은 무방하지만, 지나치게 큰 고기를 만나려고 한다면 끝내 흉할 것이다.


乘馬班如 泣血漣如
말을 타고 따라가는 것(乘馬班如)은 피눈물을 줄줄 흘리게 될 것이다
  말을 타고 급하고 격정적으로 따라간 것이 사랑이었고, 인연이었다면 10년을 기다릴 수 있을 것이기에 혼인을 허락 받을 수 있어 길할 것이다. 그러나 피눈물을 흘리는 이유는 그 실체가 사랑이 아닌 이득(고기)를 만나러 한 것이기에 10년을 기다릴 수 없었기 때문일 것이다. 사람과 사람의 만남은 마음으로 만나야 한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