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

« 2024/3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1

噬嗑 亨 利用獄
【初九】屨校 滅趾 无咎
【六二】噬膚 滅鼻 无咎
【六三】噬腊肉 遇毒 小吝 无咎
【九四】噬乾胏 得金矢 利艱貞 吉
【六五】噬乾肉 得黃金 貞厲 无咎
【上九】何校 滅耳 凶

  서합(噬嗑)은 입 속의 음식물을 강하게 씹는 것이니, 곧 ‘이권을 씹어 먹으려는 바르지 못한 힘’을 말한다. ‘악(惡)’의 하나이다. 서구 열강의 이권쟁탈로 인해 우리민족이 겪어야 했던 비참한 역사가 오래 되지 않았다. 그럼에도 조그만 상가에서 조차도 조폭까지 동원한 이권쟁탈전이 벌어지는 뉴스를 접하게 되니 안타까운 현실이다. 사형으로 아무리 엄격하게 다스려도 살인자가 없어지지는 않는 것이 세상의 이치이기는 하다. 그 악이 전체로 번지고 퍼져나가지 않게 ‘최소한으로 제어’할 수 있는가가 사회의 당면한 과제일 것이다.

 

噬嗑 亨 利用獄
악(噬嗑)도 성장해 나가는 것(亨)이니, 감옥을 이용해야 이롭다(利用獄).

  이권을 탐하는 악성(惡性)도 열매를 맺으려고 성장한다. 선도 악도 모두 전파성이 있다. 감옥을 이용하는 것은 그 악(惡)을 강력하게 단속하는 것을 말한다. 그 수단이 법이건(법가) 예이건(유가)간에 강력하게 단속하지 않으면 퍼져나가게(亨) 되는 것이다. 비워진 가게에서 너도나도 물건을 훔쳐가면 죄의식을 잃고 모두가 물건을 훔치려고 할 것이다. 현재의 사회는 공권력의 통제력이 무너지면 곧 악마의 세상으로 변해버릴 수 있을 만큼 가치관이 상실되어 있다. 공자께서 말씀하시길 “법령으로 지도하고 형벌로써 규제한다면 민중은 형벌을 피하려고 할 뿐 부끄러움을 모르게 된다. 덕으로써 지도하고 예로써 규제하면 부끄러움을 느껴 마음으로 따르게 된다”[논어 제2편 위정 제3장]고 하셨다.

 

屨校 滅趾 无咎
족쇄를 채워(屨校) 발을 잘라버려도(滅趾) 허물은 없다(无咎).

  악이 퍼지는 속도를 덕(德)으로써 통제하기는 힘들지도 모른다. 감옥 같은 구속이 필요하지만 더 나아가 악의 기운이 세상을 활보하지 못하도록 발목을 잘라버려도 허물은 아니라고 한다. 강제성과 힘으로 막아도 괜찮다는 뜻이니, 주역은 법가의 사상에 가까운 일면이 있다. 법치주의는 쉬운 방법이므로 현실적인 효과적인 방법이기는 할 것이다.

 

噬膚 滅鼻 无咎
고기를 먹으려 한다면(噬膚) 코를 베어버려도(滅鼻) 허물은 없다(无咎)

  고기는 이권, 경제력, 권력 등을 상징한다. 고기를 먹으려는 것은 악이 곧 지도부로 파고드는 것이다. 윗 물이 탁하면 순식간에 사회전체가 오염이 되어버리니 이권을 탐하는 세력이 권력과 부를 노린다면 냄새를 맡지 못하도록 코를 베어버려도 허물은 없다고 한다.

 

噬腊肉 遇毒 小吝 无咎
오래된 고기를 먹는 것(噬腊肉)은 독을 만나나(遇毒) 조금 어려워도(小吝) 허물이 없다(无咎).
  오래된 고기는 기득권층이 축적해 놓은 것을 말한다. 고기를 나누지 않고 축적해 놓은 까닭에 오래된 것이니 그 역시 이권을 축적해 놓은 것이며 악이다. 그것을 탐하여 싸우는 것은 악과 악의 다툼이니, 허물은 없다고 한다. 부패한 기존 권력층을 몰아내는 자가 바른 세력이 아니라 역시 마찬가지로 이권을 탐하여 일어선 경우이다. 그 놈이 그 놈인 것이다. 허물이 없음은 길(吉)하다는 말이 아니다. 내면적인 시각에서 괜찮다는 뜻이다.

 

噬乾胏 得金矢 利艱貞 吉
마른 밥 찌꺼기를 먹는데(噬乾胏) 쇠로된 화살촉이 나왔으니(得金矢) 끝까지 먹기 어려우니 이롭고(利艱貞) 길(吉)하다.
  마른 밥 찌꺼기는 배고픈 서민들의 양식이다. 이 곳에 악의 기운이 스며들었지만 쇠로 된 화살촉 즉, 마른 밥을 먹지 못하도록 하는 민중의 저항이 나왔다. 세상이 난세에 이르면 세상을 구하기 위해 나서는 의로운 이들은 오히려 일반 민중이다. 민중 속에서 나타난 영웅은 그 쇠로 된 화살촉(출신이 귀하지 않지만)이지만 길(吉)하다.

 

噬乾肉 得黃金 貞厲 无咎
마른 고기를 씹다가(噬乾肉) 황금을 얻게 되면(得黃金) 끝까지 어렵지만(貞厲) 허물은 없다(无咎)

  마른 고기는 가진 자, 기득권층의 재산이다. 그곳으로 스며든 악이 고기를 씹어먹으려는데 황금이 나와 제대로 씹을 수 없었으니, 곧 출신성분이 좋은 영웅을 상징한다. 주역은 기득권측에서 나온 영웅은 민중 속에서 나온 영웅에 비해 한계가 있다고 본다. 황금을 보기를 돌같이 한 최영장군도 권문세족의 출신이었던 까닭에 신분적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었다. 그래서 악을 찌를 수 있는 황금화살촉이 아니고 단순한 황금일 수 밖에 없다. 허물(咎)은 외면적인 시각의 길흉(吉凶)과 달리 내면적 시각에서 본 것이다. 내부적으로 나쁜 것은 아니다는 뜻이지만 길(吉)한 것은 아니다.

 

何校 滅耳 凶
형구에 매어(何校) 귀를 잘라버리면(滅耳) 흉(凶)하다.

  악마가 세상을 어지럽히기도 하니, 심심찮게 희대의 살인마가 나타나 인간에 회의를 느끼게 하기도 한다. 그렇지만 주역은 감옥에 가두고, 발목에 족쇄를 채우고 발목을 잘라버릴지언정 귀는 잘라서는 안된다고 한다. 귀를 잘라버리지 않는다는 말은 개과천선의 가능성을 포기하지 마라는 것이다. 귀로 들을 수 있어야 깨우칠 수 있기 때문이다. 주역은 변하지 않는 것이 없다는 세상의 이치를 담고 있는 책이기에 설령 악마일지라도 천사로 변할 수 있는 가능성을 있다고 보는 것 같다. 주역은 생명사랑의 이념을 곳곳에 기술하고 있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