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

« 2024/3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2010. 2. 26. 21:19

석과불식(碩果不食) 기타(其他)/명언(名言)2010. 2. 26. 21:19

  『주역』의 많은 명언중에서 손꼽히는 명언이 아닐까 합니다. 왠만한 국어사전에도 다 소개되어 있을 정도니까요. 이 명언의 출처가 『주역』의 23번째 괘인 박(剝)괘의 마지막 효사에 있습니다.

석과(碩果)의 의미를 두고 논란이 있지만, 대체로 ① 큰 과실 ② 씨과실로 해석을 합니다. 그래서 ① 큰 과실은 다 먹히지 않는다 ② 씨과실은 먹지 않아야 한다는 크게 두가지 의미로 해석하는 편입니다.

 

제가 가진 국어사전을 다 찾아보니,

큰 과실을 다 먹지 아니하고 남긴다는 뜻으로, 자기만의 욕심을 버리고 자손에게 복을 줌을 이르는 말

이라는 해석에서 거의 벗어나지 않고 있습니다.

 

확신하지는 못하겠지만, 주역 해설가들은 오히려 ‘씨 과실은 먹지 않아야 한다’는 뜻으로 해석하는 경우가 더 많은 듯 합니다. 주역 박(剝)괘의 전체를 해석할 경우에 그렇게 해석해야 더 부드럽게 해석이 되기도 합니다.

씨 과실을 ‘종자’라고 표현하면 더 쉽게 느껴질까요?  배가 고파도 종자까지 다 먹어버리면 종자가 싹을 틔워 번영을 이루는 내일의 희망이 사라집니다. ‘도박의 고수는 결코 종자돈을 걸지 않는다’는 말과도 연결되는 것 같습니다. 이왕 버린 몸이라고, 갈데까지 가 보려는 것을 경계하는 가르침이 될 것 같습니다. 그러고 보면 마누라까지 팔아먹는 노름쟁이는 조무래기 도박사이지 않을까요?

 

큰 과실은 다 먹히지 않는다’는 의미로 인용할 경우는 ‘큰 과실을 갉아 먹을 수는 있겠지만 결코 없애지는 못한다’는 뜻을 담고 있습니다. 뛰어난 인물일수록 모함을 많이 받기 마련입니다. 위대할수록 비난이 거세기 마련입니다. 이기고 싶은 인간의 탐욕때문이겠지요. 그래도 결코 그를 죽일 수는 없을 것입니다. ‘공자’라는 인물의 사상은 약 2500년을 통하여 계속 이어지고 있습니다. 때로는 그를 폄하하기 위해 온갖 비난이 난무했고, 때로는 그 이름에 편승하여 위작도 많이 만들어 졌지만 결코 공자를 죽일 수는 없었습니다. 석과(碩果)이기 때문일 것입니다. 오늘날 그를 조롱하는 많은 사람들을 만나게 됩니다만, 저는 감히 장담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수백년이 흐르면 공자의 이름은 남아 있게 될지라도, 그를 조롱하며 세치혀를 놀렸던 사람은 아무도 기억하지 않는 지나간 사람이 되어 버릴 것 같습니다.

 

종종 ‘죽으라는 법은 없다’는 의미로 인용되기도 합니다. 씨과실까지 없애버리는 것은 하늘의 뜻이 아닙니다. 그래서 하늘은 의미없는 생명은 낳지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하늘이 무너져도 솟아날 구멍이 있다’는 속담과도 연결됩니다. 하늘은 감당할 수 없는 시련을 주지는 않는다고 하였습니다. 하늘이 종자를 없애지는 않지만, 사람은 종자를 없앨 수 있습니다. 즉, 포기하는 것을 경고하는 가르침으로 연결됩니다. 하늘은 포기하지 않습니다. 포기하는 것은 하늘이 아니라 사람입니다.

 

  국어사전의 해설을 보니, 한마디 더 덧붙이고 싶어집니다. 물질만능주의의 오늘날에는 가진 재물을 다 쓰고 생을 마감하는 것이 부모의 마지막 도리라는 말이 떠 오릅니다. 자손에게 재물을 남겨놓는 것은 자손들을 다투게 하고 미운 감정을 생기게 하는 것일지도 모릅니다. 오늘날의 시대가 어찌하여 그리된 것일까요?

'기타(其他) > 명언(名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우지곡(童牛之牿)  (0) 2010.02.28
무망지재(無妄之災)  (0) 2010.02.27
사차이도(舍車以徒)  (0) 2010.02.25
관이불천(盥而不薦)  (0) 2010.02.25
수유구득(隨有求得)  (0) 2010.02.24
:
Posted by 오빠야닷컴
54

歸妹 征 凶 无攸利
【初九】歸妹以娣 跛能履 征 吉
【九二】眇能視 利幽人之貞
【六三】歸妹以須 反歸以娣
【九四】歸妹愆期 遲歸有時
【六五】帝乙歸妹 其君之袂 不如其娣之袂良 月幾望吉
【上六】女 承筐无實 士 刲羊无血 无攸利

  귀매(歸妹)도 여자가 시집을 가는 것이지만 앞의 점(漸)괘가 시집을 가는 여인의 입장인 것과는 달리 귀매(歸妹)는 시집을 보내는 입장이다. 매(妹)는 일반적으로는 누이를 가리키는 말이지만, 여기서는 여식을 의미한다. 매(妹)는 여자(女)와 작은 나뭇가지(未)가 합쳐진 문자인데, 남자 형제의 입장에서 보면 누이가 되지만, 부모의 입장에서 보면 여식이 되기 때문이다. 혹은, 고대의 결혼풍습이 자매를 함께 시집보냈기에 귀매라고 하였다고도 한다. 하여간 시집을 보내는 것은 본성적으로 눈물을 흐르게 만들지만, 그래야만 하는 것이 부모의 도리이기도 하다.

 

歸妹 征 凶 无攸利
여식을 시집 보내야 하나(歸妹) 강제로 나아가면(征) 흉(凶)하고 유리함이 없다(无攸利).

  여식이 혼기가 차서 시집을 보내야 하지만 사랑으로 금슬이 좋은 기러기 한 쌍이 되는 것이 아니라 억지로 시집을 보내는 것이니 흉하고 유리함이 없는 것이다. 짝을 만나고 사람을 만나는 것은 사람의 힘으로 강제할 수 있는 것이 아니다. 그래서 주역은 3번째 준(屯)괘에서 만남에 애쓰지 마라고 하였고, 5번째 수(需)괘에서 귀인은 찾아온다고 하였다. 제 인연이 있는 것이다.

 

歸妹以娣 跛能履 征 吉
시집을 보내면 여동생을 딸려 보내야 한다(歸妹以娣) 절름발이가 잘 걸을 수 있음이니(跛能履) 그렇게 나아가야(征) 길(吉)하다.

  당시의 귀족들은 딸을 시집 보내면서 흔히 그 여동생이나 몸종을 함께 보냈다고 한다. 나이 어린 질녀나 여동생이나 몸종과 함께 시집을 보냈다고 하는데 이를 잉첩(媵妾)이라고 하였다. 낯선 집안으로 시집을 가게 되는 것이니 의지할 벗이 있으면 더 좋을 것이라는 생각에서였을까? 순임금도 요임금으로부터 두 딸을 함께 얻었고 고대 중국사회에서는 잉첩이 흔한 일이였다. 아마도 정복시대에 남녀의 성비가 불균형을 이뤘던 까닭에 생겨났던 문화이지 않았을까 생각한다.

 

眇能視 利幽人之貞
애꾸눈이 잘 보려는 욕심이면(眇能視) 끝까지 가두어두는 것이 이롭다(利幽人之貞).
  시집을 가려는 딸이 소위 '눈이 삔 것'이라서 말려야만 하는 결혼이다. 애꾸눈임에도 완벽하게 보고 있다고 과신을 하니 차라리 가두어두어야 한다. 자식 이기는 부모 없다고 했지만,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결혼도 있는 법이다. 고독해지고 적적해지는 것이 싫어 혼사를 막는 것이 아니다. 여식의 행복을 위해서 막는 것이니, 시집을 보내는 마음과 다르지 않는 마음이다.

 

歸妹以須 反歸以娣
시집 보내고 합방을 기다리게 하면(歸妹以須) 그 손아래가 될 것이다(反歸以娣).
  시집을 보내었는데 합방을 하지 않으려 하는 것이다. 딸려 보낸 여동생과 위치가 바뀌어 여동생의 손아래가 되어버릴 것이니 곧 하늘이 정해준 자매간의 지위가 인간의 맺음에 의하여 역전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하늘의 도를 거스르는 잘못은 합방을 기다리게 하였기 때문이다. 시집을 갔으면 몸과 마음을 하나로 합쳐야 한다.

 

歸妹愆期 遲歸有時
혼기를 놓쳐 시집보내야 하니(歸妹愆期) 지체가 되었지만 그 때가 있으니(遲歸有時) 서둘지 마라.
  혼기를 놓쳤다고 조급하여 아무 곳에나 시집 보내려 하는 것은 잘못이다. 하늘은 늦게 맺는 열매도 일찍 맺는 열매도 있음을 알려주었다. 조급하게 서둔다고 해결될 것이 아니니 때를 기다릴 줄 알아야 한다. 사람과 사람의 만남은 하늘의 뜻이고 사람의 힘으로 강제할 수 없는 것이라고 하였다.

 

帝乙歸妹 其君之袂 不如其娣之袂良 月幾望 吉
제을이 딸아이를 시집보내니(帝乙歸妹) 그 딸의 소매가(其君之袂) 그 여동생의 소매만 같지 못하다면(不如其娣之袂良) 임신이 되어야(月幾望) 길(吉)하다.

  군(君)은 여기서는 왕의 부인을 칭하는데, 역사적으로는 제을이 문왕에게 딸을 시집보낸 것을 말한다. 소매는 미색을 상징한다. 제을이 딸아이를 시집 보내는데 여동생보다 행색이 초라했다. 월기망(月幾望)은 9번째소축(小畜)괘와 마찬가지로 임신을 상징한다. 여동생과 함께 가는 시집은 때로는 절름발이가 잘 걸을 수 있는 도움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손아래가 바뀌는 위협이 되기도 한다.

 

女 承筐无實 士 刲羊无血 无攸利
여인(女)이 알맹이가 없는 바구니로 받들고(承筐无實) 총각(士)이 양을 찔렀으나 피가 없으니(刲羊无血) 유리할 것이 없다(无攸利)
  옛 중국의 귀족들은 혼인시 종묘에 제물을 바치는 예를 행하였는데, 여자는 과일이 든 대바구니를 바쳤고, 남자는 칼로 양을 찔러 그 피를 바쳤다. 모두 자식을 바라는 의식이었다. 알맹이가 없는 바구니는 난자를 생산하지 못하는 여인을 상징하고 총각이 피를 내지 못함은 정자를 생산하지 못함을 상징하는 것이다. 즉 결혼을 하였으나 자식을 볼 수 없는 그런 혼사를 말한다.

  요즘은 의술이 발달하여 예전보다 나아졌지만, 그 비용이 엄청나게 든다. 더 낳기 싫어하는 부모들에게 어떤 혜택을 주어 마음을 변하게 하려는 정책보다는, 정말 아이를 간절히 갖고 싶어하는데도 비용때문에 힘들어하는 부모들에게 도움을 주는건 어떨까? 재정이 너무 많이 들어서 힘든걸까?

:
Posted by 오빠야닷컴

 명절 생각에 우울증, 피로, 위장장애, 어지러움 같은 스트레스로 인한 장애를 겪는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주로 주부들이 겪는 문제로 생각했으나, 최근에는 남편, 미취업자, 미혼자, 시어머니 등 그 범위가 확대되고 있다고 한다. 산업화 이후 전통적 가족 문화에서 개인주의 문화로 변화화면서 생겨난 문화 갈등이 이유일 것이다.

 주부들에게 명절이 반갑지 않는 까닭은 시댁에 가서 차례상을 준비해야 한다는 것 아닐까? 요즘에는 차례 음식을 주문하여 사용한다고도 하고, 제사와 차례 때문에 기독교 신자가 된다고도 하는데, 나는 시대적 생명이 다한 예법(禮法)은 바뀌어야 마땅하다고 생각한다.
 
차례상
차례상 by queenck 저작자 표시비영리변경 금지

  조선초기까지는 일반적으로 부모께만 제사를 지냈다.

  『경국대전』「예전(禮典)」「봉사조(奉祀條)」에는 문무관 6품 이상은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의 3대를 제사하고, 7품 이하는 부모, 조부모의 2대를 제사하고, 서인은 돌아가신 부모만을 제사한다고 되어 있다.

  이것은 『예기』「제의(祭義)」에 강조한 것처럼, 절차로 인해 실질인 '공경'을 잃게 하지 않기 위함이었다.

祭不欲數(제불욕삭) 數則煩(삭즉번) 煩則不敬(번칙불경)

제사는 많지 않아야 한다. 많으면 번잡해지고, 번잡해지면 공경함이 없어진다.

예는 마음이 근본이다. 그래서 공자께서도 말씀하셨다.

예는 사치스럽게 하기보다는 검소하게 하는 것입니다. 장례는 장중하게 치르기 보다는 진정으로 슬퍼해야 하는 것입니다 『논어 제3편 팔일』「제3장」

 

  공자께서는 왜 제사를 지내야 한다고 하셨을까?

  효(孝)는 타인에게 보여주기 위한 것이 아니라, 변할 수 없는 내면의 마음이기 때문이다.

  부모님이 살아계시건, 부모님이 돌아가시건 그 사실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모님의 은혜에 감사하는 효(孝)의 마음이 변하지 않음을 표현하는 의식인 것이다. 그래서 제사는 효의 연장이라고 하셨다.

돌아가신 조상을 살아 계신 듯 섬기는 것효에 이르는 것이다 -『중용(中庸)』「제19장」

제사는 봉양하는 것을 좇아서 효도를 계속하는 것이다-『예기』「제통(祭統)」

  즉, 부모님의 고마움을 잊지 않도록 제사라는 행위를 통해 기억하라는 뜻이 담겨있다.

 

  우리는 조선중기를 기점으로 신분제의 동요가 심했고, 10% 정도에 불과하던 사족(士族)이 편법으로 계속 늘어만 갔다. 공명첩, 납속책, 족보위조 등을 통해서 사족으로 둔갑하여 현재는 대부분이 모두 사족의 혈통이 되었다.

  새로이 사족이 된 계층이 사족처럼 제사를 지내려 하면서 제사가 혼란스러워 졌고, 권위를 지키려고 한 사족 계층이 또 방어를 하면서 형식적으로 치우치고 혼란스러워졌다.

 

  그래서 이이 선생께서는 각 가정마다 다른 제사의식을 문제 삼으셨다.

지금 세속의 대다수가 예를 알지 못하여 제사 지내는 의식이 집집마다 같이 않으니 심히 웃을 만하다(今俗 多不識禮 其行祭之儀 家家不同 甚可笑也) [격몽요결 제7장 제례]

  그러나 이이 선생께서 제사의식을 문제삼은 것은 '형식에 치우친 예'를 강조하신 것이 아니라, 기득권자(사족)의 입장에서 방어하고자 한 까닭이 아닐까 의심해 본다. 널리 알려진 속담처럼 “남의 집 제사에 감놔라 대추놔라” 하는 것은 무례한 일이다.

 

  그러니 '조율이시'니 '홍동백서'니 하는 것이 중요한 바가 아니다. 『예기』「제의(祭義)」에서 말하는 다섯 가지를 잊지 않으면 충분하리라 생각한다.

제사를 지내면서 ①부모님께서 거처하셨던 곳을 생각해보고 ②부모님이 웃음소리와 말소리를 생각해보고 ③부모님께서 뜻하셨던 바를 생각해보고 ④부모님이 즐거워 하는 바를 생각해보고 ⑤부모님께서 좋아하실 음식을 생각해 본다.

 

  예(禮)를 행한다고 하면서 지나치게 형식에 치우쳐 실질을 잃어버리고 있는 듯 하다.

공자께서는 서(恕)로 일관하셨다고 하셨으니, 마땅히 조상님께서 살아계셨다면 무엇을 좋아하셨을 지, 마음으로 통(通)해야 할 것이다. 마치 살아계신 것처럼 하라는 ‘사망여사존(事亡如事存)’도 그러한 뜻이리라.

 

  손주가 좋아하는 '피자'를 상에 놓으면 좋아하실 수 있으며, 간소하게 차림으로써 며느리와 아들이 화목하다면 더 좋아하실 수 있을 것이다.

 

  부모님께서 생전에 드시지 않던 술을 올리는 것이 과연 예(禮)일까? 경조사에 축하와 위로의 마음 없이 주고받는 돈으로 셈하고자 함이 과연 예(禮)일까? 오늘날 예(禮)는 지나치게 형식에 치우쳐 있는 듯 보인다. 마땅히 변해야 할 것은 변해야 한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