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력

3

« 2024/3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37

家人 利女貞
【初九】閑有家 悔亡
【六二】无攸遂 在中饋 貞吉
【九三】家人嗃嗃 悔厲 吉 婦子 嘻嘻 終吝
【六四】富家 大吉
【九五】王假有家 勿恤 吉
【上九】有孚 威如 終吉

  과거에는 여성과 남성을 나누어 태어나게 하고, 각기 다른 신체적 능력을 준 것을 하늘이 다른 역할을 맡기려고 했기 때문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러한 사람마다 역할이 다르다는 것이 소위 명분론(名分論)의 근원이다. 군주는 군주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자식은 자식답고 남편은 남편답고 부인은 부인답게 이름으로 구분된 그 역할을 다 하여 조화를 이루는 세상을 바람직한 세상이라 여겼다. 그래서 집안일은 여성의 권리이자 의무로 생각하였다.

 

家人 利女貞
집안을 이끄는 사람(家人)은 결실기와 마감기 사이에 있는 여성이다(利女貞).
  남자는 바깥일에 힘쓰고 집안일은 여성이 힘쓰는 남녀 역할분담의 사회가 고대가 지향한 사회였으니, 서로가 맡은 역할에 있어서는 그 주도권을 인정해 주어야 한다. 남편이 밖에서 벌이는 사업을 부인이 주도하려는 것도 명을 어긴 것이며, 남편이 집안일을 주도하려는 것도 명(命)을 어기는 것이다. 그러나 우리 역사에서는 남편이 어디서나 제왕으로 군림하려 했던 시절도 있었다. 결실기와 마감기 사이의 여성인 까닭은 며느리와 시어머니와의 여성간 역할 분담도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閑有家 悔亡
집안을 잘 단속해야(閑有家) 후회가 없다(悔亡)
  집안을 잘 단속하는 것은 살림을 잘 단속하는 것과 자녀를 잘 단속하는 것 등 집안내의 중요한 일들을 잘 단속하고 관리하여 남편이 집안일을 걱정하고 근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여성을 차별하여 가정이라는 울타리 내로 가두고자 했던 것이 아니라, 성별에 따라 역할분담을 하여 조화로움을 이루고자 한 명분론의 사회를 지향했던 까닭이다.

 

无攸遂 在中饋 貞吉
나아가 벌어오는 것이 없어도(无攸遂) 중용의 덕으로 먹여주면(在中饋) 끝까지 길하다(貞吉)
  중용은 곧 좌로도 우로도 기울지 않고 바로 서 있는 것이다. 남편이 벌어오지 않으면 먹여주지 않는 ‘GIVE AND TAKE’식의 단순한 중간이 중용이 아니다. 남편이 남편의 도리를 하는가에 맞추어 행동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도리를 저버리지 않는 것이 중용이다. 물론 반대로 여인이 집안을 잘 단속하지 못하더라도 남편이 남편의 도리를 저버려서도 아니 된다.

 

家人嗃嗃 悔厲 吉 婦子 嘻嘻 終吝
여인이 가혹하고 냉혹하게 단속하면(家人嗃嗃) 후회가 있고 염려가 있겠지만(悔厲) 길(吉)하다. 오히려 어머니와 아들이(婦子) 희희낙낙하면(嘻嘻) 마침내 궁색해진다(終吝)
  지나치게 냉혹하면 남편을 공처가로 자식을 마마보이로 만들겠지만 지나치게 너그러워도 안되니 지나침도 모자람도 없는 중용(中庸)의 도(道)를 따르는 집안단속이 필요하다.

 

富家 大吉
집안을 부유하게 하면(富家) 끝까지 길하다(大吉)
  가인(家人)의 중요한 사명은 집안을 부유하게 하는 것이다. 단순한 물질적 부가 아니라 알뜰히 살림을 하여 낭비되는 것이 없도록 하는 것을 뜻한다. 많아도 늘 부족하다고 느끼는 사람이 있고, 적어도 저축을 하면서 가계를 꾸리는 사람도 있다. 구두쇠가 되어야 한다는 뜻도 아니다. 쓰지 않으면 없는 것과 마찬가지다. 가계를 잘 단속하여 불필요하게 낭비되는 것을 막는 것이 집을 부유하게 하는 것이며 크게 길한 것이다.

 

王假有家 勿恤 吉
왕(王)은 가정에 너그러우니(假有家)을 근심하지 말라(勿恤) 길(吉)하다.
  여인이 가정을 잘 꾸려 집안이 잘 단속되고 부유한 가정이 되었다면, 혹시 부유함으로 인해 왕의 의심을 받지 않을까? 왕이 뺏어가지 않을까? 왕의 사명은 가정을 부유하게 해 주는 것이지, 부유함을 뺏어가는 것이 아니다. 흉년이 들어 국가재정이 부족하자 애공이 유약(공자의 제자)에게 방도를 물으니 유약은 10분의 1법을 시행하라고 하였다. 애공은 10분의 2법도 부족한데 어찌 10분의 1법을 하라는가 라며 화를 낸다. 유약은 “백성이 풍족하면 임금이 어찌 풍족하지 않을 것이며, 백성이 부족하다면 임금은 누구와 더불어 풍족하겠습니까?”[논어 제9편 안연 제9장]라고 답했다. 이른바 고대의 '군민일체'의 사상이니 군주는 백성에게 부유함을 저장해 둔다는 것이다. 그러니 부유하고 바른 가정은 곧 왕의 뜻이기도 한 것이다. 왕이 바른 왕이라면 근심할 필요가 없다.

 

有孚 威如 終吉
신념이 있고(有孚) 존엄을 잃지 않아야(威如) 끝까지 길하다(終吉)

  부(孚)는 주역의 전체에서 가장 강조되는 것 중의 하나이다. 생각이 없는 것에 반대되는 개념으로 신념, 신의, 가치관 등등 적절히 번역이 되어야 되는 개념이다. 이 부(孚)가 무너지기 쉬운 곳이 또한 가정이다. 맹목적이고 일방적인 복종을 강요할 위험이 많은 곳이 가정이기 때문이다. 부모라고 해서 남편이라고 해서 무조건적으로 복종을 강요할 수는 없는 것이다. 가정은 신념이 통해야 하고 개인의 존엄성이 존중되어야 끝까지 길하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17

隨 元亨利貞 无咎
【初九】官有渝 貞吉 出門交 有功
【六二】係小子 失丈夫
【六三】係丈夫 失小子 隨 有求 得 利居貞
【九四】隨 有獲 貞 凶 有孚 在道 以明 何咎
【九五】孚于嘉 吉
【上六】拘係之 乃從維之 王用亨于西山

  신하는 임금을 따르고, 자식은 부모를 따르고, 부인은 남편을 따르라는 그 따름은 무조건적인 순종과 복종을 의미하지는 않았다. 소인유(小人儒)들이 그렇게 변질시켜 놓은 것일 뿐이다. 왕이 왕도를 행하지 않으면 왕이란 잘못된 이름을 가진 악한에 불과하니 이름을 바로잡기 위해 엎어버려도 된다고 맹자께서 말씀하셨으니, 마찬가지로 남편이 남편의 도리를 다하지 않고 부모가 부모의 도리를 다 하지 않으면 남편이 아니며 부모가 아니다. 자식을 학대하고 심지어 성 노리개로 삼는 자가 부모라고 해서 자식이 무조건 복종해야 하는가? 순자께서도 “도를 따르지 군주를 따르지 않으며, 의로움을 따르지 아버지를 따르지 않는다"고 하셨고, 공자께서도 “군주는 군주답고 신하는 신하답고 아버지는 아버지답고 아들은 아들다워야 합니다”[논어 제12편 안연 제11장]고 하셨으니, 유학은 「정명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다. 수(隨)괘에서 말하는 따름은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따름이며 맹목적 복종을 말하는 것은 아니다.

 

隨 元亨利貞 无咎
따르는 것(隨)은 순탄하게 변하도록 하니(元亨利貞) 허물이 없다(无咎)

  따름의 도(道)는 따뜻한 곳으로 움직이는 것과 같은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따름이다. 주역의 첫 4괘는 원형지정의 순탄한 변화를 맞이하기 위해, 시간을 따르고(乾) 자리를 따르고(坤) 사람을 따르고(屯) 바른 도리를 따르는(蒙) 것을 말했다. 여기서는 그러한 따름의 도(道)에 관해서 말하는 것이니, 편안하고 자연스러운 따름이어야 태어나서(元) 자라고(亨) 결실을 맺고(利) 죽는(貞) 원형리정의 순탄한 변화를 맞이할 수 있어 허물이 없다고 한다. 추운 겨울이 아니라 따스한 봄에 씨를 뿌리고(元) 메마른 모래밭이 아니라 비옥한 땅에 씨를 뿌리고(坤) 밟아 죽이려는 자가 아니라 거름을 주고 보살펴주려는 사람을 만나고(屯) 그늘 속에 있으면 태양을 더 잘 받기 위해서 몸을 비트는(蒙) 그러한 따뜻하고 편안함을 지향하는 따름이어야 한다.

 

官有渝 貞吉 出門交 有功
관직에 변화가 있는 격변의 시기(官有渝)에는 끝까지 길 하려면(貞吉) 문밖으로 나와서 사귐을 가져야(出門交) 이루는 것이 있다(有功)
  관직에 변화가 있는 것은 권력이 부딪히는 격동기이기 때문이다. 주역은 그러한 격동기라면 몸을 웅크리고 숨어있어야 하는 것이 아니라 적극적으로 문 밖으로 나오라고 한다. 그리고 그 격동기를 헤쳐나가는 지혜를 사귐, 곧 사람(人)을 통해 찾아야 한다고 한다. 문밖으로 나와서 사귐을 가지는 것은 두루두루 널리 사귐을 갖는 것을 뜻한다. 따름의 도(道)는 수동적인 웅크림을 뜻하는 것이 아니다. 격변의 시기를 따르는 도(道)는 적극적으로 문 밖을 나서는 것이다.

 

係小子 失丈夫
소인과 관계(係小子)하는 사귐은 장부를 잃게 된다.
  문 밖을 나와 두루두루 사귐을 가지더라도 소인배와 교제를 하라는 말은 아니다. 소인(小人)은 부정적인 의미보다는 필부필부하는 보통의 사람을 뜻하는 의미로 쓰이지만, 여기서의 소자(小子)는 정말로 소인배를 뜻하는 부정적인 의미이다. 장부(丈夫)는 사(師)괘에서는 ‘신체가 건장한 남자’로 풀었지만, 여기서는 ‘마음이 건장한 남자’를 의미하니 군자(君者)와 크게 다르지 않다. 내가 소인배와는 함께 어울리고 있으면 장부는 그런 사귐을 가지는 나와도 상종하지 않으려고 할 것이다.

 

係丈夫 失小子 隨 有求 得 利居貞
장부와 관계(係丈夫)하여 소인배를 잃는다 해도(失小子) 그러한 사귐을 따르고서야(隨) 구원이 있고(有求) 득이 있게 된다(得) 그렇게 끝까지 자리를 지켜야(居貞) 이롭다(利)
  두리번거리면서 다른 기회를 찾으려고 잠시 의탁하는 따름이 아니라 끝까지 그 자리를 지키는 지조(志操)있는 따름을 말한다.

 

隨 有獲 貞 凶 有孚 在道 以明 何咎
따르면서(隨) 사사로이 챙기면(有獲) 끝까지(貞) 흉(凶)하니, 뜻을 가지고(有孚) 도리를 하다고(在道) 숨김이 없으면(以明) 어찌 허물이 있겠는가(何咎)
  따르면서 사사로운 챙김을 추구하면 어찌 상대도 이로움을 따져서 대하지 않겠는가? 이익을 챙기려는 마음이 개입하면 그 교류는 오래 지속될 수 없다.

 

孚于嘉 吉
뜻을 아름다운 것에 두어야(孚于嘉) 길(吉)하다.
  짐승들도 따뜻한 곳을 찾아서 모여든다. 인간도 본능으로 어느 곳이 따뜻한 곳인지 안다. 맹자께서 측은지심(惻隱之心)을 설명하며 ‘어린아이가 물에 빠지려 할 때 놀라며 구하려는 것은 아이의 부모와 교분을 맺기 위해서도 아니며, 사람들로부터 칭찬 받기 위해서도 아니며, 아이의 울음소리를 싫어해서도 아니고 본능적으로 측은한 마음이 발동하기 때문이다’라고 하셨으니, 보통 사람들은 슬픈 영화를 보면 눈물이 샘솟는 것과 같은 이치이다. 오늘날에는 오히려 배워서 영리해져서 어린아이가 물에 빠지려 하면 도움을 주러 달려가지 않는다. 천성적으로는 모성(母性)을 가지고 있지만, 인간이 영리해져서 낙태를 하고 제 이익을 꾀하곤 한다. 그래서 공자께서는 "사람의 천성은 서로 가깝지만, 학습으로 멀어진다"고 하셨다[논어 제17편 양화 제2장]. 바른 도리를 들으면 그것이 따뜻한지를 누구나 알지만 ‘그렇게 살면 손해다’라는 영리함을 개입시킴으로써 따뜻한 곳으로 나아가려 하지 않는다.

 

拘係之 乃從維之 王用亨于西山
구속이 되고 얽매이게 되더라도(拘係之) 사람들이 따르고(乃從) 받쳐주게 될 것이니(維之), 임금이라면 서산에 제사를 드려 물어볼 일이다(王用亨于西山)
  뜻을 아름다운 곳에 두면 사람들이 좋아하여 따르게 될 것이니, 임금이라면 서산에 제사를 드려 확인해 보라는 말이다. 뜻을 아름다운 곳에 두었다면 백성들이 따를 것이요, 뜻이 바르지 못하다면 백성들이 외면하게 될 것이다. 교활하고 아름답지 않는 삶을 사는 사람들까지도 무대 위에 등장하는 인물은 바르고 아름답게 사는 사람이어야만 박수를 친다. 그들도 본능적으로 따뜻하고 아름다운 것이 좋은 것임을 알기 때문일 것이다.

:
Posted by 오빠야닷컴
jung

고전을 읽을 때 극복하지 않으면 길을 헤메는 관문이 있다.
중(中)의 관념이 서지 않으면 혼돈으로 빠져든다.
중(中)에서의 직선은 가둠을 관통하는 있는 것을 말한다.
갇힌 바깥에 있는 것도 아니고, 안에 있는 것도 아니다.
통(通)하여 있는 것이다.
공자께서는 무엇으로 그 가둠을 관통하고 있을까?

공자께서 "증삼아 내가 말하는 도는 하나로 일관하고 있다"고 하자 증삼은 "그렇습니다"고 했다. 다른 학생들이 "뭔 말이야?"라고 묻자, 증삼은 "선생님이 말씀하신 것은 지극한 서(恕)야" 라고 하였다. [논어 제4편 이인 제15장]

서(恕)는 같을 여(如)와 마음 심(心)으로 이루어졌다. 마음을 동(同)하여 관통했다는 말씀이다.
말하자면, 중(中)은 가둠의 안과 밖을 마음으로 일관하여(恕) 관통하는 「진리」이다.

원효대사께서 마신 해골에 담긴 물 이야기는 유명한 이야기다.

사물은 변한 것이 없는데 (해골에 담겨있던 물은 똑 같은 물이었지만)
눈으로 보고나니 마음이 변하더라.

이 일화를 「일체유심(一切唯心)」으로 설명하기도 한다. 『대학』 역시 마음(心)을 강조한다.

마음이 있지 않으면 보아도 보지 못하고 들어도 듣지 못하고 먹어도 그 맛을 알지 못한다 [대학 제7장 정심수신]


중(中)은 마음으로 통(通)하여야 알 수 있는 「진리」이므로
노엽고, 두렵고, 좋아하고, 싫어하고, 걱정스러우면 제대로 볼 수가 없다.
공자의 말씀도, 석가의 말씀도, 예수의 말씀도 모두 머리에서 지워내어야 할 것이다.

 

용(庸)은 이러한 중(中)의 진리」에 조화롭게 맞추어 대응하는 「응답이다.
정이의 "바뀌지 않는 것이 용(庸)이다"라는 설명은 오해를 일으키기 딱 좋다. 주희의 "일상이다"라는 설명과 함께 묶어 설명하려고 하니, 진순처럼 "오곡을 먹고 옷을 입는 것은 만고의 일상이라 바뀔 수 없는 것이다"라고 하여 갈수록 이해하기만 어렵게 하였다.

 

위 속에 음식이 알맞게 차 있도록 유지시키는 것이 중용(中庸)은 아니다.
그러려면 그 중간을 맞추기 위해 하루종일 조금조금 먹고만 있어야 한다.
밥을 많이 먹고, 다시 많이 부족해지면 다시 과하게 채우는 것이 밥먹는 중용이다.
그래서 배가 부를 때를 만나고, 적당히 좋을 때를 만나고, 배가 고플 때를 만난다.
각 시기(時)에 알맞는 응답은 모두 다르다. 100년치 밥을 한꺼번에 먹고 한꺼번에 배설 할 수도 없다.
그래서 중용의 응답은 시공(時空)의 변화에 따라서 움직이게 된다.
즉, 용(庸)은 일반적 인식으로는 바뀌는 것으로 설명해야 오해가 덜하다.

사람마다 지문이 다르고, 생각도 다르고, 지능도 모두 다르다.
같은 사람이라도 10대, 20대, 30대가 다르다.
이러한 다름을 분별(分別)하여 가장 적합하게 맞추어 조화롭게 응답하는 것이 중용이다.
병(病)을 기준으로 똑같은 약을 쓰는게 아니라,
각 사람의 특성을 기준으로 다른 처방을 하려고 노력했던 것이 동양의학이었고,
역시 중용의 정신을 바탕으로 하고 있기 때문일 것이다.
공자께서 제자들마다 그 다른 특성을 감안하여 다르게 가르친 것도 그런 까닭일 것이다.
그래서 공자의 한 마디는 그 한마디 말과 글에만 갇혀서 이해하려면 오해가 생긴다.
언제, 어디서, 누구와, 왜, 무엇을 위해서 그러한 대화를 했는지를 알아야 하기 때문이다.
고증의 도움을 받고, 때로는 알 수 없는 대화는 상상하면서 읽을 수 밖에 없다.

결론적으로 중(中)의 사유는 안과 밖을 통(通)하는 것이며,
중용(中庸)의 사유는 분별(分別)을 전제로 하는 것이다.
불가에서는 어리석은 중생아 개와 너가 다르지 않음을 왜 모르느냐고 한다.
그렇지만 개와 사람이 교감하기 위한 육체사랑을 수긍하지는 않을 것이다.
진리는 개와 사람이 다르지 않으면서 다르기도 하다는 중(中)이며,
진리에 반응하는 응답은 개와 사람이 다르다는 분별(庸-용)이다.

현상계가 만들어 내는 거짓에 갇혀있는 중생들을 어리석다고 하지만,
현상계가 만들어내는 것은 허상이라는 깨달음에 갇혀서, 사람들이 어리석어 보일 수도 있다.
무지(無知)도 생각을 가두고, 지(知)도 생각을 가둔다.
그래서 공자께서는 지(知)도 중용의 선을 지켜야 한다고 하셨다.

공자께서 말씀하셨다 “도가 행하여지지 않는 까닭을 알겠구나. 지자(知者)는 과(過)하고 우자(愚者)는 부족하구나” [중용 제4장]


결국 유가의 진리는 세속과 초월의 한 쪽이 아니라 통(通)하는 것이기에,
속세를 벗어나려고 하지 않는다.

높고 원대한 이론으로 나아가 고원함을 추구하는 것이 아니고, 일상생활로 돌아온다.
그래서 배가 고프면 밥을 먹고, 잠이 오면 잠을 자는 것이 곧 도(道)이기도 하다.
현실 세상에서 추구하는 도(道)이기는 하여도, 중용의 도리에 맞추어야 한다고 한다.
자기와 남은 별개의 분별(分別)된 개체이면서 또한 유기적으로 연결된 하나이기 때문에
개인(個人)에게로 돌아오는 것이 아니라 인간(人間)에게로 돌아온다.
그래서 인(仁), 의(義), 예(禮), 지(智)가 필요하게 된다.
그래서 옷을 벗고 싶어도 아무곳에서나 나체로 있으면 안되며 예(禮)를 지켜야 한다.
물론 인(仁), 의(義), 예(禮), 지(智)는 고정된 것이 아니라, 중용에 따라 그 적합한 응답은 변한다.

그런데, 성리학이 발달하면서 이 중용의 생기발랄함과 융통성이 없어져 버렸다.

공자의 제자 자하가 말하였다 “큰 덕은 한계를 지켜야 하지만, 작은 덕은 들고 나는 것이다 [논어 제19편 미자 제11장]

송대 이후의 학자들이 이 장을 비난하지 않은 사람이 거의 없다. “작은 덕이 어찌 들고 날 수 있겠는가? 작은 덕이라고 해서 들쑥날쑥한다면, 곧 마음이 방종해져서 큰 덕에 누를 끼치게 될 것이다"는 등등의 실랄한 비난을 받았다. 아마도 자하의 말이었기 때문에 더 그러했을 것 같다. 그러나 자하가 어찌 틀렸다고 할 수 있을까?
송대이후의 학자들도 고원함과 깨끗함을 추구할 수록 사람으로부터 멀어지는 것을 모르지는 않았을 것이다. ‘물이 너무 맑으면 물고기가 없다’고 하였으니, 지나친 고원함은 사람에게서 스스로 멀어지는 것이다. 어쩌면 송대 이후의 학자들은 소인은 멸시하여 멀리하고, 선비라는 자들끼리만 어울리는 계급과 권력을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은 아닐까?

공자께서는 말씀하셨다. “도는 사람에게서 멀어질 수 없다. 사람이 도를 행한다면서 사람에게서 멀어지면 도라고 할 수 없다” [중용 제13장]

단발령이 일제의 강제라고 해서 선비들이 반발한 것이 아니었다. 나라의 명령이라고 해도 따를 수 없었던 신념이었기 때문이다. ‘정절을 유린당한 여인처럼 실성하여 먹지도 자지도 못하고 돌아다니다 목을 매었다’는 것이 역사의 기록이다. 어찌 유학만 고여서 막히고 가두어 졌겠는가? 사찰과 교회도 부처님의 참된 가르침과 예수님의 참된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 가두고 막아버린 것은 없는지 돌아보아야 하지 않을까?

:
Posted by 오빠야닷컴

건(乾)괘가 '군자'가 되어 스스로 노력하는 주동적인 삶에 대해서 말하고 있다면,
곤(坤)괘는 어찌할 수 없는 인간의 한계를 직시하는 것에 대해 말하고 있다.
인간의 한계에 대한 성찰은 죽음이 다가오는 서리가 내릴 즈음에 더 진지하게 될 지도 모른다.
그래서 서리가 내리면[늙으면] 비로소 꽁꽁 얼음이 어는 시기[죽음]이 있음을 절감한다는
때 늦은 통찰을 언급하며 곤괘는 시작을 한다.
곤괘의 가르침을 짧게 정리하면 한계를 이해하는 것 즉, '정해짐을 받아들이는 것'이다.

그런데 이 한계와 정해짐은 자연의 뜻이 아닌, 인간이 만들어낸 자리에도 있는가?
유학에서는 인간이 만든 자리도 그 자리를 거스러지 않아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 대신에 누르고 억압하고 부려먹기 위해서 만들어진 우월적인 자리가 아닐 것을 요구한다.

 

윗자리에 있다하여 아랫사람을 무시하라는 것이 아니며,
아랫자리에 있다 하여 윗사람에게 매달리라는 것이 아니니
오직 나를 바르게 할 뿐, 남에게서 구하지 않는다
.[중용 제 14장]

 

유가의 신하는 군주에게 굽신거리는 이가 아니었다.
신하의 지위에 있으므로 신하의 도리를 다 하면서, 군주에게는 군주의 도리를 다 하도록 도와주려던 이였다.
폭군에서 벗어나지 못한다면 군주의 잘못된 이름을 가진 악한에 불과하니 엎어 버려도 되는 것이었으니,
이름에 앞서, 이름에 맞는 제 도리를 다 하는가 하는 이른바, 정명사상(正名思想)을 중요시했다.
임금에 복종하고, 남편에게 복종하고, 주인에게 복종하고, 양반에게 복종하는
무조건적 ‘복종’만을 강조하기 위해 이 명분론을 이용했던 것은 변질된 유학의 잔재였을 따름이다.

 

사람은 자유롭고 싶어한다.

때로는 아버지라는 자리, 남편이라는 자리, 자식이라는 자리, 엄마라는 자리에서 벗어남을 꿈꾼다.
그러나 자리를 벗어나 욕구가 이끄는대로 제약없이 할 수 있는 것이 자유가 아니라,
그 자리를 속박이라고 여기지 않는 편안함에 도달하는 것이 유학에서 추구하는 자유이다.
자식으로서는 자식의 도리를, 아버지로서의 아버지의 도리를, 남편이 되어서는 남편의 도리를 다 한다.
그 도리를 다 함은 의무감으로 따르는 길이 아니라 마음이 이끌기에 가고 싶은 행복한 길이다.

 

자리는 하늘이 잡아 놓기도 했고, 유학에 의하면 사람이 잡아 놓기도 했다.
사람이 잡아 놓은 그 자리 역시 명분(名分)에 맞아야 한다. 그러려면 '문화'에 바탕을 두어야 한다.
그래서, 군주주의 시대에는 그 문화로 정해진 자리가, 민주주의 시대에는 그 문화에 맞는 자리가 다를 것이다.

 

공자께서 새를 보시며 말씀하셨다.
"머물러야 할 곳이 숲인 줄 아니, 사람이 새보다 못해서 되겠는가?" [대학 제3장]

:
Posted by 오빠야닷컴